Financial Thoughts

2024 미국 기준금리 인하와 채권 투자 전략

OverMan 2024. 3. 11. 08:42

과연 미국이 시장금리를 언제 내릴까?

이 질문은 수많은 투자자들이 항상 떠올리는 질문이다.

하지만 또 궁금한 것은 시장금리를 내릴 때 가장 직간접적으로 어떤 영향이 미칠까?

 

시장금리를 내린다면 직접적으로는 미국 채권의 가격이 올라갈 것이다.

물론 전제는 시중유동성이 투자처를 찾기 조금 어려워져 가장 안전한 미국 국채 포트폴리오를 늘릴 것이라는 것이다. , 국채의 가격이 오르는 것은 결국 경기가 조금 안 좋아진다는 전제를 깔고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 미국의 경제가 과열인가? 과열이라면, , 실물 Fundamental이 좋지 않다면 경착륙 할 것이다. 실물의 Fundamental이 좋다면 연착륙할 것이다.

 

나는 이 시점에서 미국의 경제가 과열이라고 생각한다. 분명 나는 현 상태가 AI 버블이라고 생각한다. 소위 M7이라고하는 빅테크 기업들의 2023년 기준으로 Market Cap이 전체 시장의 대략 30%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높은 수준의 집중화는 전례없는 수준이다. 사실 나는 이 기업들의 가치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AI가 정말 혁신적으로 다른 산업들에 영향을 주고 그래서 생산성이 정말 향상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렇게 된다면 M7의 Market Cap이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나머지 기업들의 생산성 향상이 빨리 따라가 줘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결국은 AI가 인간의 수많은 노동들을 제거해서 생산성을 높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 속도는 예상보다 느린 시간이 분명 다가올 것이다. 높은 금리와 몇몇 전쟁들로 인해 발생한 공급망 충격등은 AI를 현실에서 적용해야 하는 다른 기업들이 AI 전환에 빠르게 대응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된다.

 

 나는 대학 때 AI 공부를 나름 심도 깊게 했다. 나는 사실 AI의 핵심은 모델과 알고리즘도 있지만 데이터가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좋은 데이터를 가지는 것이 가장 큰 헤게모니를 가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딥러닝의 본질적 한계인 설명불가능성을 해결할 수 없는 한 그 활용범위에는 한계가 있다.

 

나는 한국이 국제 사회에서 AI 산업에서 맡을 수 있는 역할은 AI를 활용한 업무 프로세스 효율화라고 생각한다. 실질적으로 우리나라가 미국과 같은 나라나 기술 혁신력이 뛰어난 기존의 선진국들을 AI의 근본기술로 앞서기는 쉽지 않다. 엄청난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도 한국어 국가의 한계가 있을 뿐더러, 학습을 위한 데이터 처리 시설을 갖추는 것에도 엄청난 자본이 들어간다. 기술혁신은 선진국들이 앞설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들이 만든 기술을 이용해서 실질적인 현장에서 업무 프로세스의 혁신을 가져와 기존의 산업들에서 높은 수준의 생산성을 만들면 된다. 우리나라는 코로나 이후, 키오스크 문화가 빠르게 퍼졌다. 나는 AI를 활용한 업무프로세스 개선이 빠르게 일어나면 1명이 2명, 3명 그 이상까지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나는 딥러닝, LLM에 너무 집착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복잡한 수준의 기술이 현실에서 요구되는 것도 아니다. 중요한 것은 생산성을 혁신하기 위한 각 경제 주체들의 마인드다. 과연 사람들의 마인드가 시장의 AI에 대한 기대만큼이나 빨리 바뀔까? 그렇지 않다고 나는 베팅한다.

 

따라서 나는 미국 AI버블이 조만간에 터질 것이라고 예상한다. 그 시점은 연준이 금리를 내리고 1년안에 미국 테크주들의 주식이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러면서 미국 국채의 가치가 높아질 것이고 시중유동성이 미국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나는 그 곳이 신흥국들이라고 생각한다. 한국, 베트남, 일본 등으로 자금이 이동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나는 한국 코스피 주식시장이 앞으로 미국의 테크주들이 떨어지면서 역설적으로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지금 매수해야하는 것은 금리가 상당히 높은 미국 단기채와 평가 절하된 한국 주식들을 구매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